[애니깽 꼬레아노 (하) 세대를 잇는 사람들] 잊혀졌던 '한국의 얼' 되살린다
한국무용 가르치는 마리아
"한국 춤은 자연과의 조화"
이민 4세대 코로나 배자
애니깽 역사 직접 서술도
우리 한인들에게는 너무 흔하다고 말할 수 있는 한국 문화. 언제 한번 스스로 감격해서 한복을 입고 풍물 장단에 어깨춤을 쳐보았을까. 서구화의 매서운 바람 속에서 한인들은 잊어버린 한국 전통을 멕시칸 코리안 후손으로서 이를 잇는 사람이 있다.
메리다 시내 한인 이민 박물관에서 한국 무용을 가르치는 마리아 에오제니아 올센 아길라르(34)씨. 프로그레소에서 만난 루이스 올란 올센 리(62)씨의 큰 딸인 마리아는 전문 무용수다. 그가 이끌고 있는 댄스 그룹 이름이 ‘무궁화(Mugunghwa)’다. 영어로 연예 그룹 이름이나 상호를 짓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촌스러움의 극치라고도 할 수 있다. 마리아의 한국 사랑의 뿌리가 순수하고 깊음을 느낄 수 있다. 더욱 놀랄 사실은 그 녀는 한국 춤을 혼자 배웠다. 2006년 한인 이민 박물관 한 켠에 보관된 장고, 북을 들고 하나씩 가락을 익혀 나갔다.
유투브(Youtube) 인터넷에 오른 부채춤, 장고춤 등 한국무용 비디오를 보고 춤사위 하나씩을 반복하길 몇년. 마리아의 한국 춤은 이미 문외한이 보더라도 수준급이다. 손끝 하나 춤사위 하나 하나가 한국의 프로 무용수 같다. 춤을 마치고 손을 모아 엎드려 절 하는 모습도 천연 한국 사람이다. 코리안 멕시칸으로서 마리아의 외모와 대조되어 그녀의 춤은 더욱 마음을 움직인다.
마리아씨는 “멕시코 춤은 즐겁고 경쾌한 반면 한국 춤은 고차원적이어서 마음으로 느끼고 표출해야 한다”고 설명한다. 또한 ‘한국 춤은 자연과 내가 조화를 이루는 춤’이라고 한다. 스승이 없는 그녀는 자기의 느낌 그대로를 말할 뿐이다. 뿌리는 역시 그녀의 부친과 할머니 이솔명(1907~1995)씨다.
마리아씨는 “할머니가 하나, 둘, 셋...한국 숫자 세는 법을 가르쳐 주었다”며 “한국 음식을 함께 먹으며 ‘이것은 뭐다’ 이름을 익혔다”고 말했다. 자신의 할머니와 증조부 사진이 걸려 있는 이민 박물관에서의 그녀는 한 개인이 아니라 한인 이민사의 한 부분으로 승화했다.
어린 10대 학생들이 들어왔다. 그녀에게 한국 고전 무용을 배우기 위해서다. 이 중에는 이민 5,6세대 후손들도 있고 친구 따라서 온 멕시칸 소녀들도 있다. 마리아는 코리안 멕시칸 4세대 후손일 뿐만 아니라 한국 문화를 남미에서 전하는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
“아리랑 가락을 통해 한국의 얼을 느꼈다”는 마리아씨에게 ‘한국의 피’가 흐르고 있음을 느끼는 것이 기자 뿐만은 아닐 게다.
# 한인 이민사 직접 찾아 나선 후예도
메리다 시청 홍보실장을 맡고 있는 야비에르 코로나 배자(Lic.Javier A. Corona Baeza·34)씨는 한인 이민 4세로서 자신의 직계 조상은 물론이고 한인 멕시코 이민사를 연구중이다. 홍보실 일을 하면서 만난 여러가지 모습의 한인 후손들도 많다. 사파티스타 민족해방군의 활동 근거지인 치아파스 정글에 거주하는 김씨 성을 가진 50대 여성, 멕시코 한인 이민자의 후예로서 온두라스 혁명군 활동을 한 후손 이모씨도 만났다.
코로나는 한국 성 고씨에서 온 멕시칸 성. 코로나 배자씨는 기존에 나온 몇몇 한인 이민사에 대해서 불만도 토로했다. 조상들의 실상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일부 종교에 편중되거나 사료만 나열한 수준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직접 나섰다.
최근 그는 ‘애니깽, 그것은 전설, 역사와 문화’란 소책자를 발간했다. 스패니시와 영어로 된 이 책자를 통해 코로나 배자씨는 초기 한인 이민자들의 삶의 실상을 조금이나마 그대로 밝히고자 노력했다. 그는 이것을 위해 한인들 보다 일찍 도착해 애니깽 노동자로 일한 레바논 이민자들의 스토리도 연구했다.
코로나 배자씨는 “많은 멕시칸들이 당시 이민 온 한인들과 후손들의 근면 성실함을 존중한다”며 “나도 조상들의 이같은 노력과 헌신을 존경한다”고 말한다. 그는 할아버지 아마도 코로나 김(1911~작고)씨로부터 김치, 국수, 만두, 전병, 불고기 등의 음식을 배웠다고 말한다. 그의 증조부모는 1905년 이민온 고희민씨와 김순희씨다. 부친은 1952년생인 아마도 코로나 디애스씨다.
결혼해 딸을 둔 그의 가족은 벌써 이민 5세대가 되었지만 한국과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앞으로 기회가 되면 한인 후손회장을 맡아 역사를 복원하는 일을 하고 싶다”고도 한다.
이들에게 한국과 한국 문화는 무엇일까. 이미 한국말은 잊은지 오래고 한글도 거의 읽지 못하는 이들은 왜 애니깽 노동자로 머나먼 타향에 온 자신들의 조상을 잊지 않고 계속 살려 나가는 것일까. 그 답은 ‘100% 한인이자 100% 멕시칸’이라 할 수 있는 이번 취재 코디네이터 엄호용(45·메리다 거주)씨가 했다.
#설명하기 어려운 ‘얼’이 이유
지난 1977년에 11세때 부모의 손을 잡고 남미의 파라과이로 이민을 간 엄씨는 1986년 멕시코시티로 대학에 진학하면서 지금까지 26년간의 멕시코 인연을 시작했다. 그동안 한인사회와 멕시코 사회 속에서 수많은 일들을 하면서 그는 앞에 말한 대로 꼭 어느 쪽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사람이 됐다.
그의 부인 베로니카 크레스포(48)씨는 멕시칸 마야 여성이다. 엄씨에게 실례되는 일이었지만 그녀에게 물었다. “남편의 스패니시에 액센트가 있죠?” 그녀의 답은 “없다”였다. 엄씨의 스패니시 실력이 의심스러웠던 것은 아니었고 그가 얼마나 멕시칸 사회의 일부로 살았나를 확인하고 싶었다. 또한 초기 멕시칸 이민자들이 수십년 동안 코리안 멕시칸으로서 살면서 엄씨와 같은 완벽한 이중언어자가 됐을 상황도 궁금했다. 그런 엄씨가 ‘액센트 없는’ 한국말로 이렇게 말했다.
“우리가 만난 많은 코리안 멕시칸들은 다양한 부류가 있지만 한가지 공통점은 ‘한국의 얼’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나도 그 얼이 정확하게 무어라고 말하기 어렵다. 분명한 것은 부모, 조부모한테 배웠다는 것이다. 나도 부모한테 이어 받았다. 한인 이민자로서 또 멕시칸(그는 아직도 한국 국적이다)으로서 살면서 이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지만 답을 할 수가 없었다.”
메리다에 한글 학교가 처음 세워졌을 때 초대 교장을 맡을 정도로 한글과 한국 문화 전수에 열정이었던 엄씨는 한동안 한인 후손회와 한글 한교에 발을 들여 놓지 않았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었지만 자기가 할 일을 다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엄씨는 기자와 함께 ‘한국 춤꾼’ 마리아씨를 만나면서 마음이 바뀐 것 같다. 엄씨는 “다시 한글 학교에 가서 코리안 멕시칸 후손들에게 한국의 얼이 무엇인지를 함께 이야기할 기회를 가져야 겠다”고 말했다. 정제되지는 않지만 마음 속 한 켠에 이들에게 꼭 해주어야 할 말이 생각난 것이다. 마리아, 코로나 배자, 엄씨 등 이들은 세대와 세대, 한국과 멕시코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한인으로서의 혈통은 희석되고 벌써 100년이 넘은 이민 역사 속에서 문화적으로 물질적으로 많은 것이 혼재됐지만, 지금도 이들의 피와 영혼 속에 간직된 것이 있다. 바로 ‘한국의 얼’이다. 우리는 미주에서 이를 되살리고 있는가? 되물을 수 밖에 없었다.
멕시코 메리다=송훈정 기자
통 역: 엄호용
도움: 유남열 선교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