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같은 제사장] 부흥의 전조는 예배회복
이유정 목사/한빛지구촌교회 예배디렉터
여름에 홍수가 나면 정작 먹을 수 있는 물을 구하기 힘든 것처럼 요즘 예배는 많지만 정작 하나님을 만나고 복음의 열정에 불붙는 예배가 부족하다. 바로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의 생명을 경험하며, 성령의 감동이 살아있고, 본질의 변화가 일어나며, 존재의 혁명을 가져오는 예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배의 결과 우리의 눈과 행동이 가난하고 소외된 이웃, 전쟁과 기근에 고통 받는 나라와 미전도 족속들을 향해 구체적으로 결단하는 예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배의 본질에 대한 보다 본격적인 논의가 시급한 때이다. 알렉산더 슈메만이 말한 것처럼 세상과의 관계에서 인간의 모든 본질적인 표현들이 궁극적 ‘준거’를 부여받고 그것들의 최고 깊은 의미가 계시되는 것은 다음 아닌 예배 안에서, 예배를 통해서다. 예배는 모든 것을 규정하는 규범의 위치이다. 그래서 예배가 무너질 때 다른 모든 것이 무너진다. 지엽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시간 낭비할 때가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 즉, 하나님을 만나고, 예수 복음에 전율하며, 삶의 관점이 바뀌고, 차가운 지성이 불타오르며, 구체적인 결단이 일어나는 그런 예배에 집중해야 한다.
지금 지구촌에는 과거에는 결코 경험할 수 없던 현상들이 곳곳에 나타나고 있다. 지구 한 쪽에서 부르는 찬양이 지구 반대편에서 동시에 불리고 있다. 누가 지시하지 않았어도 예루살렘 회복의 열망이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이루어 지구촌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로컬(local)과 글로벌(global)의 경계가 사라진 글로컬(glocal)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말세에 일어날 대부흥을 예비하는 하나님의 인프라일지도 모른다.
세기마다 일어났던 과거의 부흥과는 차원이 다른 지속적이고 글로벌한 부흥, 역사상 그 이전에도 없었고 그 이후에도 없을 전무후무한 거대한 부흥이 마지막 때에 일어날 것이다. 이 부흥의 쓰나미 현장에 쓰임 받으려면 김종필 목사의 언급처럼 내가 서있는 그곳이 부흥의 진원지가 되어야 한다. 대부흥은 바로 그 곳에서 자신을 깨뜨린 영적 거인을 통해 일어날 것이다. 그러나 이 부흥을 꿈꾸고 준비하는 교회와 성도들마다 선행될 부흥이 있다. 그것은 바로 ‘예배 본질의 회복’이다.
이것은 전통예배, 현대예배, 열린예배(seeker service), 블렌디드(blended) 예배, 이머징(emerging) 예배와 같은 형식의 논쟁을 불식시킨다. 세대와 문화에 따라 형식이 중요한 매체의 역할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그 어떤 형식이라도 본질의 중요성에 비하면 사소하다. 이 본질의 회복은 슈메만이 말한 것처럼 예배의 참된 의미와 능력의 재발견이고, 예배의 우주적, 교회론적 차원과 내용을 재발견하는 일이다. 죽은 전통과 관습을 포기하되 그 안에 있는 참된 본질을 시시때때로 바라보는 일이다. 그래서 오늘의 예배 회복은 제2의 종교개혁에 해당할 만큼 중요한 무게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메일: unplugw@gmail.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