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방사능 공포…하지만 두려워 할 필요없다

건강물리사 배정수씨에 들어본 '방사능의 모든 것'

미국서 발견된 방사성은 극소량
많은 요오드 섭취는 오히려 '해'


미국의 15개 주에서도 방사성 물질이 발견됐다는 보도 이후로 질문을 많이 받고 있다. “도대체 방사성(능) 물질이 무엇이고 왜 몸에 해롭다는 것인가?”란 기본적 물음에서 “방사성 물질을 거르는 공기정화기는 어디서 사느냐?”까지 다양하다. 건강물리사( Health Physicist)인 배정수씨에게 그 답을 들어 본다.

-우선 '건강 물리사'란 어떤 일을 하는 사람인가? 소개를 부탁한다.

"제2차 대전 중 미국에서 원자탄을 개발할 때 의사와 물리학자의 중간 역할을 해 줄 분야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그 이후 생긴 것이 '건강 물리사'이다. 건강과 방사성 물질과 상관관계에 관심 갖는 사람들이다. 지금 일하는 회사는 발렌시아에 있는 동위원소 제작사(Ecker & Ziegler Isotope Products Laboratories)이고 97년부터 동위원소를 다루고 있다. 대학에서 핵공학 대학원에서 방사능 보건 물리학을 전공했다."



-기본적인 질문으로 방사성 물질이란? .

"화학시간에 도표로 외운 원소 기호가 생각날 것이다. 가장 가벼운 수소(H)부터 가장 무거운 우라늄(U) 순으로 나열된 92개의 화학원소다. 이들 원소는 안정된 상태에서는 방사선을 내지 않는다. 중성자를 투입하거나 핵분열 등의 충격을 가하면 원소가 놀라 붕괴를 일으키는데 이 때 우리가 잘 아는 원자력 에너지를 내면서 방사선을 내뿜는 원소로 변한다. 지금 많이 보도되는 요오드는 안정된 상태(요오드 127)에서 자극 받아 변질된 위험한 방사성 물질인 '요오드 131'이다. 같은 요오드 기호를 사용하되 성질이 변한 원소들을 동위원소라 한다."

-방사성 물질은 원자력 발전소에서만 나오나?

"많은 분들이 그렇게 생각해서 지금처럼 염려하는 것 같다. 좀 얘기가 광범위한데 우주가 생성된 이후부터 방사성 물질은 우리 주변에 존재해 왔다. 눈에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공기 중에도 있다. 가장 많은 데가 대기권 밖의 우주공간이다. 비행기 조종사의 방사성 노출이 이슈화된 것도 이 때문이다. 우리가 설명할 때 바나나를 예를 든다. 바나나에는 몸에 좋은 무기질인 칼륨이 있다. 칼륨은 묘한 것이 안정된 원소 옆에 방사선을 내는 동위원소도 항상 있다. 바나나를 먹으면 이것 역시 우리 몸 안에 들어 온다. 그러나 내뿜는 방사선이 극소량이기 때문에 무탈하다."

-해로운 경우는 어떤 때인가?

"지금 일본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성 물질에 대해서는 이미 보도되어 알고 있을테니 라돈개스를 예로 들어 보자. 한국에서도 이슈화 된 걸로 안다. 미국 펜실베니아는 지역적 특성상 라돈개스가 많다. 우라늄 원소가 변화하면서 만들어진 방사성 동위원소인데 몸 안에 들어가면 기체였던 것이 고체로 되면서 폐에 착상해 폐암을 유발시킨다. 펜실베이니아의 폐암 사망이 1위이다. 일본 원전처럼 사람의 손이 아닌 지리적 혹은 생태적 여건으로 방사성 물질이 우리 곁에 있다는 얘기다."

-미역을 먹어도 되냐는 질문도 있는데…

"미역 등 해산물에 포함된 요오드가 앞서 설명한 안정된 자연상태의 요오드 127 이다. 예방차원에서 요오드 칼륨을 먹으란 것도 바로 안정된 요오드를 많이 섭취해 두라는 것인데 우리 몸에 필요한 요오드는 매우 극소량이기 때문에 반드시 의사와 상의하고 먹을 것을 권한다. 음식물을 통해 과잉 섭취할 경우 소변과 땀으로 자연스럽게 배출되어 적정량을 유지시켜 주는데 이처럼 집중적으로 복용하면 배출이 잘 안 된다. 과잉 섭취되면 소화기 장애와 갑상선 질환이 생겨 오히려 해롭다. 그리고 지금은 굳이 따로 먹을 필요 없다. 위험하지 않기 때문이다."

-체르노빌 원전 폭발은 25년이 지났는데도 방사성 물질이 남아 있다고 하는데 요오드나 세슘 등은 얼마나 오래가나?

"원자력 발전소의 연료봉 안에는 수천개의 방사성 물질이 있다. 기체나 고체상태로 고체인 경우는 물에 녹는다. 우리가 지금 염려하는 요오드 131는 사실은 이 중에서 가장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신문에서 '반감기(Half- life)'란 단어가 자주 나온다. 방사성 원소의 수가 반으로 줄어든 시간을 말한다. 안전하게 되는 시간인데 요오드는 8일 정도가 되면 반으로 줄고 2개월 정도 되면 스스로 안정되어 방사선을 내지 않는다. 그보다는 근육을 공격하는 세슘(Cs 137)과 뼈와 골수에 달라 붙는 독성이 가장 강한 스트론튬(Sr 90)이 문제다. 30년 정도 지나야 되기 때문이다."

-방독면과 공기정화기가 필요한 지도 알고 싶어한다.

"우리처럼 방사성 물질을 다루는 회사에서는 직원이 방독면과 특수가운을 착용한다. 심리적으로 폐쇄공포증이나 천식처럼 폐활량에 문제가 발견된 사람은 착용하지 못하게 한다. 오히려 호흡장애를 가져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꼭 의사와 상의할 것을 권한다. 또 공기정화기 필터로는 방사성 물질이 걸러지지 않는다."

-일본에서 들여 온 수입품들 중에 다량이 묻혀 올 수도 있지 않은가?

"이미 세관에서 조치를 취하고 있고 만일 문제될 정도라면 통관되지 않을 것이다. 우리 회사만 해도 매일 확인하고 있다. 우리와 같은 사람들에게 법적으로 허용된 방사선 노출량은 지금 일반인 기준의 50배나 많다. 이 말은 그 정도 더 많아도 이상 없다는 의미다. 10년 이상 된 나나 동료들 중에 아직 건강 문제가 있다는 걸 못 들었다. 더군다나 입자가 큰 방사성 물질은 이곳까지 날아 올 수도 없다."

김인순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