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가 허문 시장 벽…한국 대중문화, 세계로 훨훨

재미있다 입소문 나면 인종·지역 넘어 유통
한류, 동남아·콘서트서 유튜브·트위터로 중심 이동
비용 줄고 해외 매출 급증 "독이던 인터넷이 약으로"

해외로 뻗어나는 한국 대중문화 '한류(韓流)'가 지구촌을 휩쓰는 소셜 네트워킹 열풍을 타고 제2 전성기를 맞았다. 세계 각국의 네티즌들은 유튜브.트위터.페이스북을 통해 좋아하는 한류 스타의 영상과 노래를 퍼뜨리고 공유한다. 소비자들이 기업의 마케팅을 공짜로 대신해준다.

인터넷이 되면 지구 반대편에서도 한국 가수의 음원을 즉각 구매할 수 있어 사업가치도 엄청나다. 시장은 커지고 비용은 줄며 수익원은 다양해졌다. 2000년대 중반 침체기를 거쳐 활짝 피어나는 제2 한류.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드라마 중심에서 온라인 콘텐트 전반으로 빠르게 확장되는 현장을 들여다봤다.

지난 8월 25일 도쿄 하네다 공항. 일본 첫 '쇼케이스(홍보공연)'를 위해 이곳을 찾은 걸그룹 '소녀시대' 멤버들의 입이 딱 벌어졌다. 일본 열성팬 800여 명이 공항 로비를 점거하다시피 한 것이다. 쇼케이스 현장은 더 충격적이었다. 그룹 멤버 윤아는 "일본 땅을 밟은 게 처음이고 데뷔도 안 했는데 2만2000여 명이 운집해 어안이 벙벙했다"고 말했다. 일본 팬들은 어떻게 현지에서 음반 한 장 낸 적 없는 이들의 노래를 어떻게 척척 따라 불렀을까. 한국 TV를 많이 봐서일까. 답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였다.

# 인터넷 되면 어디든 '마켓'

지구촌을 휩쓰는 SNS 혁명이 '제2 한류(韓流)'의 진앙지로 자리잡고 있다. 1990년대 말 시작된 '제1 한류'는 동남아시아 중심 드라마와 대형 콘서트 중심이란 특징이 있었다.

인종.지역이라는 물리적 한계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불붙기 시작한 제2 한류는 다른 차원이다. 인터넷 특히 SNS가 '허브' 역할을 한다. 다른 인터넷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SNS엔 인종과 국가.자본의 경계가 없다. 누가 올린 정보(콘텐트)이든 가치 있고 재미있으면 세계 도처로 순식간에 퍼져나간다.

제2 한류가 아시아를 넘어 세계 각지로 빠르게 확산되는 연유다. 중심 콘텐트도 드라마보다 음악으로 바뀌고 있다. 인터넷 공유가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한국 최대 음반기획사인 SM엔터테인먼트의 김영민 대표는 "독이던 인터넷이 약으로 변했다"고 말했다. 콘텐트 불법 복제의 온상이던 온라인이 한류의 글로벌 도약대 역할을 하게 됐다는 뜻이다. 이 회사 소속 소녀시대가 일본 진출 전에 이미 수십만 명의 팬을 확보하고 현지 데뷔 두 달 만에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한 것도 SNS 덕분이라는 것이다.

# 마케팅 비용. 사업 리스크 확 줄어

SNS는 무엇보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필요한 마케팅 비용을 크게 줄였다. SNS의 사이버 공간에서 홍보와 마케팅의 주력 부대는 기업이 아닌 일반 네티즌이다.

지난달 트위터에선 인기 그룹 '슈퍼주니어' 멤버 김희철의 이름이 나흘 내내 주요 검색어에 오르는 이변이 일어났다. 세계 팬들이 10월11일을 '김희철의 날'로 정해 각국 언어로 관련 '멘션(140자 미만으로 작성하는 트위터 글)'을 일제히 쏟아낸 덕분이다.

미국에 본사를 둔 세계 최대 한류 커뮤니티 '숨피닷컴'의 조이스 김 대표는 "김희철의 사례를 미국 쇼비즈니스 업계에선 '스트리트 팀(Street Team)'이라 부른다"고 전했다.

과거엔 그저 '팬덤(열성적 지지)'을 활용한 입소문 마케팅을 뜻했지만 SNS 시대엔 각국 팬들이 한날 한시에 좋아하는 스타를 일제히 지목함으로써 세계적 붐을 주도하는 것을 뜻하게 됐다.

해외시장 개척에 드는 시간과 비용 위험부담도 확 줄었다.

'빅뱅' '2NE1' 등이 소속된 한국 YG엔터테인먼트의 황민희 팀장은 "과거엔 국내 최고 스타라도 해외에 진출하려면 많은 스태프가 현지 숙소를 잡고 바닥부터 새로 시작해야 했다. 이젠 온라인으로 미리 반응을 체크한 뒤 각 시장에 맞는 세부 전략을 세울 수 있어 위험 부담이 줄었다"고 말했다.

이나리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