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왕같은 제사장] '미리 감사'는 하나님을 움직인다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인 ‘감사의 힘’이란 책이 있다. 저자는 500만 명이 시청하는 미국의 인기 TV 뉴스 프로그램인 ‘인사이드 에디션’의 진행자 데보라 노빌이다. 그녀는 위대한 성공은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자주하는 사소한 습관에서 비롯된다고 했다. 이것은 저절로 되지 않는다. 그래서 ‘감사’를 연습하라고 한다. 감사의 대상이 3가지 있는데 첫째는 다른 사람들에게, 둘째는 세상을 향해, 마지막으로 나 자신에게 감사하라는 것이다.

 캘리포니아 주립대학의 로버트 에몬스 교수에 의하면 하루에 5번씩 감사의 말을 쓰는 사람들과 전혀 감사의 말을 표현하지 않는 사람들의 삶의 결과가 완전히 다르다고 했다. 5번씩 감사를 표현하는 사람들은 스트레스도 확연하게 줄고, 건강에도 큰 차이를 보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감사할 때 우리를 살리는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감사를 잘하는 사람은 감동을 잘 받는 사람이다. 내가 받은 감동으로 감사하면 상대방에게도 그 감동이 전달된다. 웃음을 준다. 웃을 때 우리 몸에 좋다는 면역성이 있는 앤드로핀이 나온다. 그런데 우리가 감동을 받을 때는 앤드로핀 보다 5천 배나 강력한 다이도르핀이 나온다고 한다. 이것이 감동 호르몬이다. 이렇게 감사는 우리 삶에 엄청난 에너지를 가져다준다.

 감사할 대상이 하나 더 있다. 바로 하나님이다. 하나님과 감사의 관계가 깊어질수록 우리에게 돌아오는 인생의 에너지는 데보라 노빌의 ‘감사의 힘’이나 감동 호르몬과 비할 바가 못 된다. 문제는 우리가 감사할 줄 모른다는 것이다. 열 명의 문둥병 환자가 “제사장들에게 가서 네 몸을 보이라”(눅 17:14)는 예수의 말씀에 순종해서 성전을 향해 가는 도중에 모두 치유함을 받았다. 그러나 그중 단 한 명 사마리아 사람만이 감사하기 위해 돌아왔다. 10명 중 한 사람만이 감사했다. 이것이 오늘 우리 시대의 모습이다. 사람들은 감사에 인색하다.

 감사를 방해하는 가장 큰 적 가운데 하나가 ‘근심’이다. “근심이 사람의 마음에 있으면 그것으로 번뇌케 하나…”(잠 12:25). 근심은 감사가 아닌 번뇌를 낳는다. 문제는 사람들이 자신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는 문제를 품고 염려한다는 것이다. 심리학자 어니 젤린스키의 연구 결과가 이를 증명한다. “우리가 하는 걱정의 40%는 절대 현실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고, 30%는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것이며, 22%는 안 해도 될 사소한 일이고, 4%는 우리 힘으로는 어쩔 도리가 없는 일이다.” 결국 우리가 바꿀 수 있는 걱정은 겨우 4% 밖에 안 된다는 것이다.



 Thank와 Think는 모음하나 차이이다. 생각만 바꾸면 감사하지 못 할 것이 없다. 우리의 눈이 환경에 고정되어 있을 때는 불평과 염려가 나온다. 그러나 우리의 눈을 하나님께 고정할 때 감사가 시작된다. “아무 것도 염려하지 말고 오직 모든 일에 기도와 간구로, 너희 구할 것을 감사함으로 하나님께 아뢰라. 그리하면 모든 지각에 뛰어난 하나님의 평강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리라.”(빌 4:6,7) 그래서 바울은 명령한다.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살전 5:18). 어떠한 상황에 있던지 감사는 하나님의 뜻이다. 그래서 기독교는 가장 감사가 많은 종교이다.

 어느 가을날 아침, 시편 138편을 묵상하는데 문득 다윗의 고백인 ‘전심으로 주께 감사하며’라는 말씀에 영감을 받아 곡을 썼다. 처음엔 그 의미가 다소 생소했다. 어떻게 해야 전심으로 감사할까? 묵상하다가 영어성경에서 찾았다. ‘with my whole heart’, 즉 ‘내 모든 마음으로’라는 표현을 충족시키려면 감사의 조건을 찾아야 한다. 우리는 감사할 일이 있을 때만 감사한다. 그러나 감사의 조건들을 찾아보라. 생각보다 감사할 제목이 많아 놀랄 것이다.

 주목할 구절이 7절 이하에 나온다. “내가 환난 중에 다닐지라도 주께서 나를 소성케 하시며….” 이 시의 구조가 독특하다. 감사가 나오고 하나님의 응답이 뒤따른다. 일반적으로 곡의 후렴은 절의 결론이다. 1절이 있기에 후렴이 등장한다. 그런데 이 시는 먼저 결론이 나온다. 즉 감사를 먼저 한다. 그리고 후렴 “주께서 나를 소성케 하시네”는 감사의 조건이다. 적어도 ‘감사’의 원리에 있어서 이 시의 구조가 옳다. 먼저 감사할 때 하나님의 응답이 따른다. 미리 감사는 하나님을 움직이는 힘이다. 바로 오늘부터 미리 감사하는 습관을 만들자. 그럴 때 이번 추수감사 연휴는 물론 우리의 인생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는 풍성함으로 넘칠 것이다.

이유정 목사, 한빛지구촌교회 예배디렉터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