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 칼럼] '코리아타운' 지정의 값진 성과
최인성/JBC 제작팀장
첫째 구역설정이 입씨름을 통한 '땅따먹기' 식으로 되어서는 안된다는 생각 때문이었고 둘째 이제 한인사회도 타 커뮤니티의 의견과 생각을 존중해야할 만큼 성장했기 때문이었다. 나아가 한인사회도 이제는 중론을 모을 수 있는 능력을 안팎에 보여줘야 했기에 더욱 그랬다.
이런 공감대의 중심엔 이창엽 전 한인회 이사장이 있었다. 1.5세 출신으로 1세들의 정서를 잘 이해하기 때문에(?) 항상 대외적인 활동에서 곤혹스러웠다는 것이 그의 토로다. 구역안의 LA시 소위원회 통과를 지켜본 그는 중앙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결과 만큼이나 과정을 중시하는 작업이 될것 이라고 자신해 왔지만 상당히 힘겨운 절차였다"고 털어놨다.
그도 그럴 것이 한인사회 내부에 있었던 공청회와 의견 수렴 모임은 모두 10여차례 타 커뮤니티와 의견 조율을 위한 공개적.비공개적 만남도 20여 차례 있어왔다. 이 과정에 건설적이고 설득력있는 의견 제시를 해온 한인들은 양손으로 꼽을 정도였다.
반론들도 지엽적이고 이기적인 발상이 대부분이었다. "지금 우리 땅을 내주면 끝장이다" "한국보다 훨씬 뒤처진 나라 사람들이 한인들을 쉽게 본다"등 누가 들을까 부끄러운 말까지 서슴없이 하는 인사도 있었다.
더 큰 장애는 한인들 대다수가 타운 구역설정의 중요성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 어찌보면 무관심은 당연했다. 그러다 보니 이들에게는 절차보다는 구역의 지도상 넓이만 중요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조율과 대화를 중시한 이 전 이사장의 원칙에 일부 인사들은 "뭔가를 내주고 타협하는데만 급급해 북쪽과 남쪽의 영역을 빼앗겼다"고 비난하는가 하면 "개인의 영달을 위해 커뮤니티의 이해를 뒷전으로 내몰았다"는 주장도 했다. 정말 그런가?
LA에는 타이와 필리핀 등 총 10여개의 소수계 타운들이 있다. 이들은 단지 지도에 줄을 긋는 것으로 커뮤니티의 '대사'를 마무리 하지 않았다. 이들은 상의를 포함한 주민단체들을 통해 타운을 알리는 간판을 세우고 명소와 식당들을 대외적인 관광상품으로 개발해 홍보했으며 매번 영향력있는 정치인들을 커뮤니티 행사에 초대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타운의 크고 작음을 떠나 상품가치가 높은 타운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노력을 그치지 않았다는 말이다.
우리는 이런 노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큰 상처를 통해 기억하고 있다. 1992년 LA폭동의 경험은 우리의 존재를 외부로 알리는 것이 평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닫게 해주었다. 당시 타운은 브랜드화 되지 못했고 결집하지 못했다. 타 커뮤니티에 배려하지 못했고 이기적이라는 이미지도 강했다. 이젠 코리아타운의 구역이 확정됨으로써 이런 이미지를 벗을 좋은 기회가 주어진 것 아닐까.
뉴스와 보도에서 비공식적으로 인용됐던 코리아타운이 이젠 공식 문서화 된다. 오랜 시간이 걸린 만큼 이를 미국내 최대 '코리아타운 브랜드'로 만들기 위한 본격적인 노력이 시작돼야 할 때다. 또한 결과 만큼이나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주변 커뮤니티 이웃들에게도 이것이 얼마나 의미 있는 것인지 인식할 때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