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기름유출 죽음의 재앙 '앨라배마주'를 가다 <중>

관광객 떠난 해변엔 기름띠만…
깊은 바다에선 기름 여전히 펑펑 쏟아져
BP, 현지인 7000명 고용…방제작업 투입

심해 오일 유출이 시작된 지 두달이 넘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기름띠가 확산될수록 주민들의 시름은 더 깊어지고 있다.

방제 작업을 지켜보던 킴 레이본씨는 "수 일째 바다에 나와 똑같은 모습을 지켜보기만 하고 있다"며 "여전히 깊은 바다에서 뿜어져나오는 기름이 멈추길 기도하지만 하얀 백사장의 누런 기름띠는 점점 늘고 있다"고 안타까워 했다.

또 다른 지역 주민인 레베카 패럴씨는 "매년 이 맘 때면 밤낮으로 사람들이 해변을 가득 메웠는데 그들이 떠난 자리에는 기름만 들어차고 있다"며 "바다를 잃었다는 상실감과 빈 해변이 주는 허무함 때문에 잠을 이룰 수 없다"고 하소연했다.

기름먹은 바닷물이 궁금해 직접 손발을 적셔봤다. 따뜻했다. 바닷물에 적신 손을 코에 갖다대자 역한 기름내가 진동했다. 머리가 띵 할 정도로 강한 냄새 때문에 속까지 울렁거렸다. 마치 주유소에서 기름을 손으로 받아 냄새를 맡고 있다는 착각까지 일었다. 생명의 바다가 거대한 죽음의 기름밭으로 변해버린 것이다.



해변 입구에 설치된 샤워기를 틀고 손발을 닦았다. 아무리 닦아도 손에 밴 기름내가 쉽사리 가시질 않았다. 미끌미끌한 기름기가 손에 남아 지워지지 않았다.

주민들이 삼삼오오 모여있는 곳으로 발길을 옮겼다. 갑자기 바람이 훅 불어왔다. 바람과 습기에 뒤섞인 매캐한 기름 냄새가 다시 코를 찔렀다. 해변에 나와있던 사람들은 코와 입을 막으며 "역겹다!(Disgusting)"고 소리쳤다.

제임스 프리셰씨는 "바람이 북풍으로 바뀌어 육지쪽으로 불면 온 마을이 기름 냄새로 뒤덮인다"며 "이렇게 검은 바다와 기름내 진동하는 도시를 누가 찾겠냐. 사람들의 기억에서 이 곳이 잊혀질까 두렵다"고 말했다.

현장을 찾기 전에는 기름때를 닦는 자원봉사자들로 가득 찬 해변을 상상했다. 적어도 지난 2007년 12월 충남 태안 앞 바다에서 발생한 원유 유출 사고 때는 그랬다.

당시 50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방제작업에 동참했다. 그들은 땀과 눈물로 기름때를 닦아 냈다.

그러나 실제 앨라배마주에서 자원봉사를 신청한 사람은 고작 1만여명. 기름 유출의 직접적인 피해지역인 루이지애나 미시시피 앨라배마 주의 해안선은 770마일(1200km)에 달한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거리의 3배다. 기름띠를 방어해야 할 해안선에 비해 자원봉사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다.

이유는 있다. 아무나 자원봉사를 할 수 있는 여건이 아니다. 우선 안전 때문이다. 멕시코만 기름 유출 지역은 위험한 해안 습지가 있어 자칫 또 다른 인명사고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름띠 제거 작업이 바다에서 이뤄진다. 특수 안전 장비가 필요하다.

BP측은 "오직 바다에서 근무가 익숙한 사람이나 특별한 기름 제거 기술을 가진 사람만이 자원봉사에 참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의 방침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 때문에 자원 봉사에 참여하기 위해선 40시간의 안전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자원봉사 단체인 앨라배마 코스탈 파운데이션의 베타니 크래프트는 "대부분의 자원 봉사 희망자들은 복잡하고 긴 트레이닝을 거쳐야하는 풀 타임 봉사를 원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물론 자원봉사자가 적은 더 근본적인 이유는 따로 있다. 원유유출 사태를 보는 시각이다.

오렌지 비치에서 만난 이 지역 주민은 "BP로 인해 발생한 사태인만큼 BP 스스로가 해결해야 한다"고 했다. BP의 노력은 당연한 것이며 끝까지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BP는 방제작업을 위해 돈을 주고 대규모로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 현재까지 BP에 고용된 방제 인원은 7000여명에 달한다. 피해지역 주민이 고용 1순위다.

실업자나 원유유출 사태로 일자리를 잃은 주민이 우선적으로 고용되고 있다. 타 지역 주민이 고용되는 경우는 특수 방제 기술자에 한하고 있는데 드물다.

방제작업 타미 프라이스 "습도·무더위·냄새와의 싸움"

"날씨와의 싸움입니다."
오렌지 비치 해변에서 가족과 함께 방제작업을 지켜보던 타미 프라이스(35.사진)가 어렵게 말을 꺼냈다.
이 지역 토박이인 그는 관광객을 상대로 낚시와 보트 대여 사업을 해왔다. 하지만 지난 4월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가 터지면서 수입이 없어졌다.
이 후 BP에 고용돼 방제 작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바다 위에서의 방제 작업은 엄청난 체력을 요구한다.
그는 "매일 오전 7시부터 오후 3시까지 바다에 나가 기름띠를 제거하고 있다"며 "바닷가 태생이라 배 위에서 근무하는 것이 그리 낯설지 않다"고 했다.
문제는 높은 습도와 무더위다. 멕시코만 해안 지역 여름 기온은 화씨 90도를 웃돈다. 여기에 습도가 더해지면 체감 온도는 화씨 110도를 넘어선다. 가만히 서 있어도 땀이 줄줄 흐른다. 찜통이 따로 없다.
살인적인 더위와 습도가 더해진 바다 위에서의 방제 작업은 치명적인 위험을 줄 수 있다.
바다를 뒤덮은 기름 냄새도 방제 작업의 걸림돌이다. 프라이스는 "파도의 울렁거림과 습기를 머금은 바람에 실려오는 기름 냄새로 인해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동료들도 있다"며 "앞으로가 더 문제다. 허리케인 시즌이 다가오면서 작업이 중단되고 폭풍으로 인해 바다의 기름이 육지까지 뒤덮을 수 있다"고 걱정했다.
게다가 작업 중 기름에 노출된 피부가 발진을 일으켜 방제 활동에 참여한 사람들이 이에 따른 고통으로 치료를 받는 경우도 늘고 있다.
앨라배마=곽재민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