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뉴스라운지] 백두산 폭발

논설위원실

유득공은 37세 젊은 나이에 발해고(渤海考)를 썼다. 정조 8년, 1784년의 일이다. 발해고의 가치는 고려가 외면했던 발해사를 한국의 역사로 다시 편입시킨 데 있다. 삼국시대-통일신라-고려로 이어지던 전통적 한국사 서술 방식이 20세기 후반 들어 삼국-남북국시대-고려로 바뀐 것도 발해고의 유업이다.

200년 이상 존속했던 발해는 926년에 멸망했다. 멸망의 원인을 그 무렵 있었던 백두산 대폭발에서 찾는 사람도 있다. 당시 백두산 폭발이 폼페이를 매몰시킨 베수비오 화산보다 100배나 강력했다는 점, 백두산 일대가 발해 5경의 한 가운데였다는 점 등이 이유다. 그러나 백두산 대폭발은 시기가 비슷하긴 했지만 발해 멸망 직후였다는 것이 아직은 정설이다.

최근 백두산이 4~5년 내에 대폭발을 일으킬 것이라는 보도가 나와 주변국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중국 학자들의 조사를 바탕으로 백두산 일대의 지진 활동이 월 240회에 이를 만큼 급증했고, 주변 지형이 융기하고 있으며, 화산가스로 인해 나무가 말라죽고 있는 것 등이 모두 화산폭발의 전조라는 것이다. 화산 폭발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자 한국 기상청까지 대책 마련에 나섰다는 소식도 들린다.

해발 2744m 백두산은 민족의 영산이다. 고려가 외면했지만 조선시대 이후 가까스로 지키고 있는 그 곳을 중국도 창바이(長白)산이라 달리 부르며 늘 넘보고 있다. 이미 백두산 천지는 1962년 북한과 중국이 ‘조중변계조약’을 맺어 호수가 양분된 상태다. 자연재해 대비라고는 하지만 화산 연구까지 중국이 주도하고 있다는 것이 그래서 왠지 께림칙하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