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와 지금] 고종 '대한제국' 선포···문화선진국 의지 국호에 담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대회 때 온 국민을 하나로 묶은 구호는 "대~한민국 짝짝짝 짝짝"이었다. 그 무렵부터 국가대표 스포츠 대항전을 중계하는 TV 화면 상단에도 우리나라의 공식 국호인 '대한민국'이 자리 잡기 시작했다.그전에는 주로 '한국'이라고 썼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지 반세기 만에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데 대한 국민적 자부심이 국호에 대한 애정으로까지 확대된 것이리라. 그런데 정작 대한민국이 우리 국호가 된 연유와 의미를 제대로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 듯하다.
1897년 10월 12일 고종은 경운궁 대안문 정면에 새로 지은 환구단에 나아가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천자의 자리에 올랐다. 중국인들은 고대부터 자기들 나라 이름은 외자로 쓰고 인근 민족과 나라 이름은 두 자로 써왔다. 근세에 서양 열강과 접촉하면서부터는 이들 나라의 이름을 굳이 세 글자에 맞추어 미리견.영길리.불란서.노서아.오지리 등으로 썼다. 서양 열강의 침탈로 중화주의가 패퇴한 뒤에야 이들 나라 이름을 한 글자로 고쳐 불렀다.
주자학적 화이론(華夷論)에서 벗어나지 못했던 당시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제국은 당연히 외자 이름을 가져야 했다. 그래서 정한 '한(韓)'은 우리나라 고대의 국호 중 하나였다. 위만에게 나라를 빼앗긴 기자 조선의 마지막 왕 기준이 남쪽으로 내려와 '삼한'의 왕이 됐다는 고사에서 따온 것이다.
'대'는 당시 일본과 청국이 관용적으로 쓰던 접사였다. 기자는 세계 최고 수준의 보편 문화를 상징했으니 '대한'의 국호에는 문화 선진국을 향한 의지가 담겨 있었던 셈이다.
1919년 3.1운동으로 독립을 선언한 뒤 독립운동가들 사이에서 새로 건국할 나라의 국체와 국호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졌다. 국체는 삼권분립의 원칙에 입각한 민주공화제로 결정되어 '민국'으로 하였고 '한'을 그대로 승계했다. 1948년 제헌 헌법은 '기미 3.1운동으로 대한민국을 건립'했다고 하여 이때의 국호 승계를 헌법 전문에 명시했다. 3.1절을 국경일로 정한 것도 이날에 건국절의 의미를 부여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은 국호뿐 아니라 국기도 대한제국의 것을 승계했고 국가의 가사도 대한제국 때 만들어진 것 중 하나를 썼다. 정부 수립 이후 대한민국의 역사를 재조명하자는 취지에서 대한민국관 건립 준비가 한창이다.
전우용 〈서울대병원 병원역사문화센터 연구교수〉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