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그때와 지금] '조선인에게 자유를 주고싶다' 배재학당 세운 아펜젤러의 꿈

미국인 선교사 헨리 아펜젤러(1858~1902)는 1885년 4월5일에 제물포에 첫발을 디뎠다. 그는 조선 사람들에게 다음 생에 누리는 영생만이 아니라 미국인이 누리는 자유를 지금 살고 있는 세상에서 누리게 하고픈 소망을 품고 있었다.

김옥균이 1883년 7월 서울에 온 매클레이 목사를 도와 기독교 학교와 병원을 세워도 좋다는 고종의 윤허를 받아냈기에 아펜젤러는 숨어 들어와 순교의 붉은 피를 뿌린 천주교 사제들과 달리 합법적으로 입국할 수 있었다. 김옥균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의 여파로 중국이 조선의 독립은 물론 세상을 알기 위한 교육의 기회마저 주려 하지 않던 암흑의 시절.

1885년 8월3일 4명의 학동으로 시작한 배재학당은 10여 년 뒤에는 '배재대학'으로 불릴 만큼 성장했으며 불의의 해난 사고로 아펜젤러가 숨을 거둔 1902년까지 길러낸 인재는 500명 이상이었다.

"통역관을 양성하거나 우리 학교의 일꾼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라 자유의 교육을 받은 사람을 내보내려는 것이다." 그때 배재학당은 이 땅 젊은이들의 굳은 머리를 녹여 백성이 주인 되는 세상을 꿈꾸는 근대 개혁가나 사상가로 거듭나게 한 활활 타오르는 용광로였다.

그는 협성회회보.매일신문의 발간과 독립협회의 활동을 도와 자유와 인권이란 근대 가치가 학교의 울타리를 넘어 널리 퍼지게 도왔을 뿐 아니라 미국 정부와 선교본부의 지시를 어기고 서재필.이승만.윤치호 같은 근대화 운동가들을 박해의 칼날에서 지켜준 방패였다. 서울 양화진 외국인 선교사 묘역에서 긴 잠에 든 그의 삶은 한 세기 전 우리를 오랜 미몽에서 깨어나게 한 한줄기 빛이자 희망이었다.

허동현 〈경희대 학부대학장.한국근현대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