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중앙포럼 '경제진단 세미나' 지상중계] '주택신축 회복·증시 상승세는 청신호'

한미은행 공동주최, 제리 니켈스버그 박사 기조연설
침체 끝나도 당분간 실업률 상승…고용 신뢰 높아져야 소비가 살아

이번 포럼에는 제리 니켈스버그 UCLA 앤더슨 연구소 수석 경제학자가 기조연설자로 참여했다. 이날 발표된 내용들을 지상중계 형식으로 정리한다.

경제학자들은 2007년 12월부터 경기침체가 시작됐다고 보는데 실질 소매판매는 2008년 8월까지만 해도 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패니메.프레디맥 리먼브라더스 AIG 등의 위기가 터지며 금융시장이 붕괴된 9월부터 소매판매가 크게 줄기 시작했다.

역사가 대공황을 통해 배운 것은 증시 붕괴와 실업률 급증에 이은 소비급감이다. 지난해 가을 이후 미국경제의 모습이 바로 그렇다. 실업률 급등에 소비자들은 가능한 모든 곳에서 지출을 줄이고 있다. 따라서 고용이 살아나며 경기가 회복된다는 신뢰가 소비자들 사이에 생기지 않으면 경기회복은 힘들다.

이를 위해 정부는 대대적인 경기부양책과 구제금융을 시작했다. 경기부양책은 의료 에너지 인프라 등에 주로 투입되고 있는데 이 분야는 그 효과를 보는데 시간이 걸린다. LA만 해도 405번 프리웨이 카풀레인 확장공사가 진행중이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에 쓰이는 경기 부양자금은 올 4분기 15% 내년에는 25%에 불과하다.

▷소비자 자신감 회복

경기가 침체에서 회복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알아보는데는 소비자 신뢰지수와 증시 움직임을 보는게 좋다. 신뢰지수는 경제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자신감을 증시는 앞으로의 기업 실적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2개 지표 모두 지난 3~4월을 기점으로 상승세에 있다.

이외에도 내구제 주문 빌딩퍼밋 등의 선행지표들은 현재 경기가 침체의 끝에 이르렀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 기업들의 재고 조정 수출 및 소비의 안정 주택가격 하락세 둔화 및 거래량 증가 등 희망적인 사인이 나오고 있다.

반면 신규 실업수당 청구나 실업률 등은 계속해서 늘고 있다. 하지만 실업률 추이를 근거로 경기침체의 끝을 예상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경기침체가 끝난 뒤에도 실업률이 계속 증가하는게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주택경기 바닥쳤다

올 상반기에 주택 건설경기는 바닥을 쳤으며 내년부터 서서히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보인다.

〈그래프1 참조〉

실질GDP성장률은 3분기 중에 마이너스대를 벗어난 뒤 4분기부터 본격적인 회복세를 보여 향후 2년간 2% 안팎의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문제는 소비가 살아나는데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그래프 2 참조> 지난해 1% 이하로 떨어졌던 실질 소비 증가율은 올해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향후 2년간 1% 초반대를 기록할 전망이다.

실업률은 내년 중반 고점을 찍은 뒤 2011년까지 10% 인근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보호무역주의의 부활과 이에 따른 무역마찰 시장에 넘쳐나는 유동성에 따른 인플레 등이 우려된다. 1분기에 5%까지 올랐던 저축율은 서서히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2005년처럼 마이너스대 저축율을 기록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가주 정부가 문제다

캘리포니아로 범위를 좁혀보자.

LA 롱비치 오클랜드 등 3개 주요 항구를 통한 물동량은 지난해 하반기 이후 크게 줄었다. 세계 경제의 동반 침체로 수출이 감소했으나 지난 1분기에 소폭 증가했다.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국가들의 회복세가 미국보다 먼저 일어났고 기업들의 생산량 축소로 재고 조정이 일어난 덕분이다.

주택시장에서는 가격 거품이 충분히 빠져 장기적으로 상승 트렌드를 기대할 수 있는 수준까지 조정을 받았다. 그 덕에 거래량이 늘어 건설경기 회복을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주정부에 있다.

연방정부가 세금을 낮추고 지출을 늘리는 반면 주정부는 재정적자 문제로 그 반대의 정책을 펴고 있다. 주정부는 이번 경기침체를 계기로 1920년대에 구축한 지금의 조직도를 다시 그려 보다 효율적이고 장기적인 예산 편성이 가능한 구조를 갖춰야 한다.

실제 1900년대 중반 전국 평균 실질소득 보다 10% 가까이 높던 가주 주민들의 소득은 시간이 흐를수록 반대방향을 보이고 있다.

제조업이 주를 이루던 당시 만들어진 정부 구조와 예산편성 과정은 지식산업이 주종목인 지금의 캘리포니아에는 맞지 않는다.

캘리포니아의 향후 전망은 다른 주들에 비해 밝지만 주정부의 변화가 함께 이뤄져야 더 빠른 속도로 경제회복을 이뤄낼 수 있을 것이다.


촬영 및 제작: 조인스아메리카:www.koreadaily.com 촬영일: 2009-8-20


염승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