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와 지금] 러일전쟁 이긴 일본 찬양했는데···식민지 조선은 '타고르 짝사랑'
오늘은 라빈드라나트 타고르(1861~1941년)가 긴 잠에 든 날이다. 1912년 영문시집 '기탄잘리(Gitanzali)'가 영국에서 나온 지 7개월 만에 그는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노벨문학상을 거머쥐었다. 서구인들의 눈에 그는 물질만능주의에 찌든 서구에 동양의 지혜를 전해 줄 성자나 예언자로 비쳤다."우리 타고르 선생이 가장 영예 있는 노벨상을 받았으니 실로 동양 사람으로는 효시라. 선생으로 말미암아 인도의 면목이 일신한 것은 물론이거니와 우리 동양인 전체의 명예라 할지로다." 그의 시를 이 땅에 처음 소개했던 진순성은 그를 '우리'로 불러 동일시했다.
강한 서구를 선망한 이 땅의 독자들도 서구가 인정한 그의 시 세계에 환호를 보냈다.
'일찍이 아세아의 황금시기에/ 빛나는 등촉(燈燭)의 하나인 조선/ 그 등불 한번 다시 켜지는 날에/ 너는 동방의 밝은 빛이 되리라'. 1929년 4월 2일자 동아일보에 주요한의 번역으로 실린 '동방의 등촉'이란 그의 시는 일제 치하 이 땅 사람들의 아픈 가슴을 어루만져 준 격려의 송가로 해석됐다.
희망을 잃은 암울한 그때 우리의 문화적 저력을 인정해 준 이 시구 하나로 그는 오늘까지 이 땅의 사람들 뇌리 깊숙이 '우리 편'으로 살아 숨 쉰다. 그러나 '바다 기슭에 밤은 밝고/ 핏빛 구름의 새벽에/ 동녘의 작은 새/ 소리 높이 명예로운 개선을 노래한다'.
1905년 러일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일본을 찬양한 이 시는 타고르는 우군이었다는 고정관념과 충돌한다. 그는 식민지 인도가 영국을 물리칠 수 있다는 희망을 러일전쟁에서 봤다. "일본은 아시아 속에 희망을 가져왔다.
우리는 해 돋는 이 나라에 감사한다. 일본은 수행해야 할 동양의 사명이 있다." 그때 그는 조선을 집어삼킨 일본을 응원한 일본 편이었다. 타고르의 '일본 찬가'는 그에 대한 우리의 애정이 아전인수식 짝사랑에 지나지 않았음을 명증한다.
허동현 〈경희대 학부대학장.한국근현대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