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그때와 지금] 급여로 받은 쌀의 절반이 모래···분노한 군대, 임오군란 일으켜

근대사상 최초의 군사 쿠데타인 임오군란의 도화선에 불이 댕겨진 날은 1881년 7월 19일이다. 13개월이나 밀린 녹미 중 겨우 한 달치가 무위영 소속 군인들에게 주어진 그날.

모래가 반은 섞인 쌀을 손에 쥔 병사들은 분노에 치를 떨었다. 대표 몇 명이 책임 당국자 민겸호의 집(사진)을 찾아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돌아온 것은 가혹한 징벌이었다. 병졸들은 흥선대원군에게 마지막 희망을 걸었다.

23일 재집권을 읍소하는 이들에게 대원군은 민씨 척족의 수뇌를 제거하고 일본 공사관을 공격해 일본인을 몰아내며 범궐하여 민비를 없앨 것을 비밀히 지령했다.

24일 창덕궁에는 피바람이 몰아쳤다. 분노한 군민의 공격을 막아내기 어려워지자 하나부사 공사는 공사관에 불을 지른 후 본국으로 도피했다. 다음 날 대원군이 9년 만에 다시 권좌에 올랐다.

수구(守舊)의 물결이 온 나라에 넘실대면서 역사의 수레바퀴는 거꾸로 돌기 시작했다. 8월 1일 청군 3000명이 이 땅에 들어오고 8일 300여 명의 일본군도 진주하자 임오군란은 국제 문제로 비화했다. 26일 대원군은 납치되어 청국 보정부(保定府)에 유폐되었다.

33일 만에 정권은 다시 고종과 민씨 척족의 손으로 돌아갔다. 일본은 군란을 빌미로 30일 수호조규 속약과 제물포조약을 강요해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고 공사관 호위 병력의 주둔권을 얻어내는 등 실리를 챙겼다.

그러나 최대 수혜자는 청국이었다. 10월 4일 맺어진 조중상민수륙무역장정 서문에는 조선은 청국의 속국임이 명시되었고 청국 상인은 일본 상인보다 더 큰 특권을 누리게 되었다.

청.일의 각축장이 되고 말았던 그때나 오늘이나 우리의 지정학적 위치는 다름없다. 마주 보고 달리는 기관차 같은 정치판을 보며 위정자들이 내우(內憂)는 외환(外患)을 부른다는 임오군란의 교훈을 되새기길 바랄 뿐이다.

허동현 〈경희대 학부대학장.한국근현대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