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그때와 지금] 그리스 문명 이어받은 이슬람, 몽매한 서유럽을 '개화' 시키다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에는 14세기 초 유럽 수도사들이 '아랍어 문서를 라틴어'로 번역하는 장면이 나온다. 수도원 사서들에게 아랍어 해독능력이 필수적으로 요구됐다는 설명도 뒤따른다.

아랍어를 중세 유럽의 공용어인 라틴어로 번역했다는 것은 서유럽인이 이슬람으로부터 뭔가 배웠음을 뜻한다.

"대체 서유럽이 아랍으로부터 뭘 배운단 말인가?"라는 의문이 생기는 게 당연하다. 근대 이후 서양문명이 이슬람을 압도했던 까닭에 우리 뇌리에는 '이슬람문명은 서양문명보다 뒤떨어진 문명'이라는 부정적 고정관념이 새겨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서유럽이 이슬람보다 우월하다는 시각은 '최근 수백 년'에 한해 맞는 말이다. 서기 7세기 이후 500년 동안 이슬람은 고대 그리스의 과학.철학을 소화해냄으로써 서유럽에 비해 압도적으로 우월한 문명을 건설했다.

이슬람은 단순히 그리스 학문을 받아들이는 데 그치지 않고 독창적으로 끌어올렸고 '야만 상태'의 서유럽은 12세기 이후 이슬람 학자들이 소화한 그리스 학문을 받아들임으로써 문명을 도약시켰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대표적 사례다.

유럽인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을 '그리스어→라틴어'로 직접 번역한 것이 아니라 '그리스어→아랍어→라틴어'로 중역된 텍스트를 통해 처음 그리스 사상을 접했다.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을 기독교에 융합시킨 토마스 아퀴나스의 스콜라 철학은 이렇게 해서 탄생했다. 역사가들이 '12세기의 르네상스'라고 부르는 서유럽의 번영은 이슬람의 학문적 성취가 없었다면 이룩될 수 없었다.

지난 4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이집트 카이로 대학에서 15억 이슬람교도들을 향해 화해를 제안하는 역사적 연설을 했다.

그는 '이슬람에 대한 부정적 고정관념'과 싸우는 것이 미국 대통령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고정관념 깨뜨리기'는 한때 서양이 스승으로 받들었던 이슬람의 위상을 재인식하는 것으로 출발점을 삼아도 좋을 듯싶다.

박상익 <우석대 역사교육과 교수.서양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