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단체-Then&Now (3)] 봉제협회, 한인상권 본격 태동시킨 '돈 줄'
과잉단속 대응하려 77년 협회 창설
80년대 회원사 1500여개 '전성시대'
아파트·상가 구입, 은행 창업 '밑천'
그 때 '남청여봉' '밟아라 삼천리'라는 말이 생겼다. '남자는 청소 여자는 봉제'를 줄인 말이다. 생계를 위해 미싱을 밟았던 당시 고된 이민생활이 고스란히 느껴지는 표현이다.
언어 때문에 일터가 한정돼 있던 한인들에게 취직도 쉽고 월 수입도 300~500달러로 좋은 봉제 업체로 고학력자 외교관이나 교수 부인까지 몰렸다.
그러면서 유대인이 장악하고 있던 LA 봉제 업계를 한인들이 급속도로 잠식했다.
70년대 중후반 즈음에는 전체 5000여개 중 한인 봉제 업체가 약 250개로 성장했다. 풀타임 한인 직원만도 1만명이 넘었다.
이 즈음은 노동청 단속이 갑작스레 강화되던 시기였다. 통보없이 들이닥친 단속반의 과잉단속이 이어졌다. 일만 하느라 사업체 운영 관련 법규나 제반사항에 대해서는 백지상태였던 한인 업주들은 속수무책이었다.
몇몇 업주들과 과잉단속 현장을 목격한 당시 봉제 업체 대상으로 보험을 하던 변창환씨가 모여 의견을 나눴다. 봉제 업체들의 목소리를 낼 필요성에 대해 모두 공감했다. 한인 업체들을 보호하고 권리를 찾기 위해 77년 협회를 조직했다.
1978년 5월12일 '가주한인봉재협회' 지금의 '미주한인봉제협회'가 창립됐다. LA한인회 LA한인상공회의소 등에 이어 생긴 주요 한인 단체였다. 초대회장은 변창환씨가 이사장은 안이준씨가 맡았다.
창립멤버에는 김히영(2대) 이기명(2대 이사장) 한삼권(3대.작고) 안종식(5대) 천영철(7대) 김응식(5대 이사장.19대 회장) 김시용 박준호 이원준 등이 있다.
봉제협은 곧바로 '가주봉재협회보'를 창간했다. 한인 단체로는 처음으로 78년 7월20일 1호가 발행된 가주봉재협회보는 지금까지 이어져 매달 15일 나온다.
봉제협은 회보를 통해 업계 관련 정보 제공에서부터 운영 교육 각종 법규 계몽 등에 주력했다. 또 한인 봉제 업체들간의 협조 및 단결 과당경쟁 자제 과잉단속 및 고용주와 고용인간의 갈등 해결 등에 나서며 분위기 쇄신에 힘썼다. 또 법적 문제 해결책을 제시 업주들의 고충을 덜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관계당국과 직접 절충 방법을 찾는 동시에 항의 및 개선 편지를 보내는 등 한인 봉제 업체 권익을 위해 나섰다.
변창환 초대회장은 80년까지 3년동안 봉제협의 체계를 세웠다.
80년대에는 한인 업체가 1500여개에 이를 정도로 전성기를 구가했다. LA한인타운내 아파트와 상가를 매입하고 은행을 여는데 참여했다. 타운 경기가 봉제로 이뤄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한인 상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때 봉제협도 성장을 거듭했다.
82년부터 10년동안 경영교실을 운영했으며 83년에는 USC에서 10주동안 '봉제 경영 혁신을 위한 세미나'를 개최하고 봉제경영지침서' 1집을 85년 2집을 발간했다.
84년에는 일본으로 봉제산업 시찰을 나가기도 했다. 이후 틈틈히 해외로 나가 시찰을 통해 사업 아이디어를 얻는데 활용했다.
86년에는 한인 봉제 업주 64명을 대상으로 UCLA USC 익스텐션에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진형기 박사의 시너지 경영교실'을 처음 진행하기도 했다. 봉제협의 경영교실은 지금도 매월 또는 격월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90년대 들어서는 사향으로 돌아섰다. 80년대 중후반부터 종업원이 타인종으로 대체되면서 상해보험 등 압박 요인들이 생기기 시작했고 90년대에 수면 위로 떠올랐다.
잦은 상해보험 청구로 인한 보험가입이 힘들어졌고 상해보험 허위청구는 소규모 업체들의 폐업으로 이어졌다. 이에 봉제협은 93년 상해보험법 시정 요구 대규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내부적인 갈등 및 문제 외에도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이 체결되면서 봉제 업계가 위축되기 시작했다. 값싼 노동력을 찾아 멕시코 등에 공장 설립이 러시를 이뤘다.
이는 2000년대에도 이어졌다. 중국 베트남 등으로 향했고 의류의 해외 생산이 늘면서 봉제 업계는 상당 부분 힘을 잃었다.
주요 인력도 한인에서 라틴계로 변했다. 95%에 달하던 한인 직원은 지금은 5% 미만으로 줄고 대신 라틴계 직원이 95%를 차지한다. 현재 전체 봉제 업체는 3000여개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한인 봉제 업체는 1200여개 영세 업체까지 포함하면 1500개다. 업계 구성 인종도 중국 월남 남미 등으로 다양해졌다.
봉제협은 올해로 31년이 됐다.
업계가 위축되면서 협회 활동도 침체됐었던 것이 사실. 하지만 30주년을 보내고 31년을 맞으며 새로운 도약의 해로 정했다.
6대 회장을 지낸 박철웅 사무국장은 "일만 해왔는데 어려운 시기를 맞고 있다"며 "회원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친목을 다지는 기회로 삼아 제2의 도약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재희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