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하자]월가 ‘금융 쓰나미’, 현명히 대처하자
투자 재조정 및 부동산 시장 적절 대응으로 위기 극복
리먼 브라더스는 15일 뉴욕의 지방법원에 파산법 챕터11에 따른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챕터 11은 법원의 감독 하에 기업 회생 절차를 밟도록 하는 제도이지만 채권자들과 주주들이 입을 수백억 달러 내지 수천억 달러의 손실을 감안할 때 원상회복은 요원해 보인다.
리먼 브라더스의 채무 규모는 6,130억 달러 규모로 종전 파산 신청의 최고 기록인 월드컴의 15배에 달한다.
‘리먼 쇼크’는 ‘금융 쓰나미’ 도미노 현상을 유발시키고 있다.
매릴 린치가 뱅크 오브 어메리카(BOA)에 440억달러에 인수되는 것에 합의한 데 이어 AIG도 연방준비제도 이사회(FRB)에 400억달러 긴급 지원금 지원을 요청하는 등 미 금융산업은 절대절명의 위기를 맞고 있다. 모두 일요일에 발생, 그야말로 ‘피의 일요일’이다.
문제는 후 폭풍이다. 북가주 동포들도 ‘월가의 후 폭풍’ 차단을 위해 나름대로 대비하자.
너무나도 상황이 각박하게 돌아가서 하는 얘기다.
우선 현재위기가 단순한 유동성 위기를 넘어 투자은행(IB)이라는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인 만큼, 이들을 대상으로 투자한 동포들은 투자재검토에 착수해야 할 것이다.
IB들은 한동안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되어 왔다. 수익성 높은 자산에 투자해 막대한 수익을 거두어 온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과거지사다. 앞으로는 신용위기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져 시장 자체가 쪼그라들 것은 명약관화다.
이런 부류의 대형 IB들이 절반으로 줄어들고 말 것이라는 월가의 자체 분석이 ‘금융 쓰나미 ’엄습 이후 만 24시간 만에 나오고 있는 만큼, 만일 이런 부류의 투자가 이루어졌다면 전문가와 상의, 폐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포트폴리오(위험분산)를 꾀하기에도 이미 늦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현재까지의 손실에 집착하지 말고 더 큰 손실을 막는데 주력하자.
다음으로는 부동산 시장 상황을 재검토하자.
그 동안 침체되어 온 부동산 시장 역시, 조만간 ‘올 것이 왔다’라는 반응을 보일 것은 분명하다. 미국의 양대 주택담보대출회사인 페니 매, 프레디 맥의 국유화만으로는 시장불안을 해소하기가 힘든 상태에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금융위기가 도래했으니, 부동산 융자업계 역시 후 폭풍이 너무나도 거셀 전망이다.
부동산 융자를 받아야 하는 시점이거나 재융자가 도래한 시점이라면 만반의 대비를 하자. 무엇보다도 대출자격강화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형식적인 서류제출이나 위조서류제출로는 대출 업무가 이루어질 수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원천 봉쇄됐다고 보면 된다.
관행이 통하지 않는 만큼, 요구사항 관철 외에는 달리 방법이 없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 참에 본인의 자산상태를 철저히 재분석, 현금유동화 극대화를 꾀할 것을 권하고 있다.
대출자격 요건도 충족시키면서 자신의 자산 건전성도 확보할 겸, 자산구조조정 등을 꾀해 보유 물건(物件)에 대한 다운페이를 늘리는 것 등이 일례라고 조언한다.
나중에 금융시장이 안정되면 다시 재융자를 받을 지언 정, 지금은 한 푼이라도 주택에 돈을 더 잠겨두는 방법이 좋다는 얘기다. 불안정한 금융시장 상황 하에서 대출액을 한 푼이라도 줄여 자기 자산율을 높여 놓는 것이 현명한 대처 요령이라는 얘기다.
다운페이 부분을 한 푼이라도 늘려 내실을 기하라는 뜻으로 집이나 건물을 보유하고 있어도 자기 자본률이 0에 가까운 사람들이 많은 만큼, 이런 ‘빛 좋은 개살구’식의 투자는 지양해야 한다는 뜻이다.
작금의 ‘금융 쓰나미’를 그린스펀 전 FRB의장은 ‘100년 만에 한번 올 사건’으로 규정하고 있다.
동요됨이 없는 냉정한 판단력과 대세를 거역하지 않는 현명한 상황 판단만이 금융위기 탈출의 지름길임을 명심하자.
신중돈(사장/발행인)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